[이코노미세계] 우리가 지금 하지 않으면, 다음 세대는 더 큰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 광명시 박승원 시장은 14일 자신의 SNS에 이 같은 문장을 남겼다. 그가 언급한 ‘대가’는 기후위기이며, 그가 추진하는 정책의 키워드는 ‘탄소중립 실천’이다.
광명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기후주간’을 운영하며 기후 토론회, ESG 포럼, 기후 뮤지컬, 창작 공연, 기후의병 캠페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단순 홍보성 행사에 그치던 기존 지방정부의 기후 관련 사업과 달리, 실행 중심 구조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광명시는 모든 부서가 기후 관련 연간 목표를 세우고, ‘기후행동점검회의’를 통해 달성 현황을 검토하는 체계를 운영 중이다.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행사 중심이 아닌 이행 기반 행정체계”라고 평가한다.
특히 박 시장은 “탄소중립은 선언이 아닌 정책 구조의 총체적 전환이 필요하다”며 “지방정부가 먼저 행동해야 중앙정부·공공기관·민간 참여가 뒤따른다”고 강조한다.
하지만 정책 실행의 속도는 의지보다 느리다. 박 시장은 “제도적 보완과 예산 지원 없이는 시민 확산형 탄소중립 시스템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중앙정부의 지원 의지가 여전히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 등 정책 경험이 있는 인물들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100개의 탄소중립 선도 도시를 지정하고 컨설팅·예산을 집중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 시장의 글에는 행정 언어만 담겨 있지 않았다. 얼마 전 국회에서 있었던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 논의 중 한 의원의 울먹이는 연설을 언급하며 “저도 같이 울컥했다”고 적었다. 이는 기후정책이 단순 계량 정책을 넘어 세대 간 책임 의식, 생존 자원의 분배 문제임을 보여준다.
2050 탄소중립은 거대 담론이다. 그러나 그 목표는 중앙부처의 보고서나 국제회의에서 완성되지 않는다. 거리의 시민, 지역 행정조직, 기업, 교육기관 등 사회 단위의 축적된 변화가 쌓여야만 현실이 된다.
광명시가 보여주는 것은 작은 출발이다. 하지만 이 작은 출발이 한국형 그린 거버넌스의 표준이 될 수 있을지, 이제는 정책 의지 대신 실행 지속성이 답해야 할 차례다.
이코노미세계 / 오정희 기자 oknajang@hanmail.net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