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세계] 경기도교육청이 추진해온 ‘경기 미래형 과학실’ 정책이 양적 확대는 이뤘지만, 정작 학교 현장의 과학실 안전관리는 여전히 허술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호겸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의원은 27일 제384회 정례회 제4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실험이 활발해질수록 안전이 필수인데, 경기도 각급 학교의 과학실은 안전과 관리 면에서 매우 취약한 상황”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경기도교육청은 2022년부터 ‘경기 미래형 과학실’ 조성 사업을 본격 추진해 올해까지 총 365개교에 과학실을 구축했고, 내년에는 10개교가 추가 지정될 예정이다. 또한 지난달 ‘지역특화 과학교육’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는 등 과학교육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실험 활성화의 이면에는 학생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최근 3년간(2022~2024년) 경기도 내 과학실에서는 총 172건의 사고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한 인명 피해는 총 202명에 달했다. 이 중에는 중상자 2명, 전기 감전 사고 2건, 학생의 부주의로 인한 손목 골절 사고 등도 포함됐다. 김 의원은 “대부분의 사고가 보안경이나 장갑 착용 등 기본적인 안전 수칙만 지켰더라도 충분히 예방 가능했던 것”이라며, 실험실 안전장비 비치와 착용 관리 실태 점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시약 관리의 디지털화 필요성도 제기됐다. 현재 경기도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시약 및 위험물질을 수기로 관리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전산 시스템이나 전담 인력 없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김 의원은 “2020년에도 도의회는 폐시약 관리 문제를 지적하며 개선을 주문했지만, 여전히 현장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올해 ‘2025 과학실 안전관리 계획’을 수립하며 실험 위험물질을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고, 수기 또는 에듀파인을 통한 약품 관리대장을 5년간 보관하겠다는 방침도 내놓았다. 그러나 김 의원은 “이 같은 조치가 선언에만 그치지 않도록, 디지털 정보화 사업에 과학실 안전관리 항목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학실 내 공기질 관리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현재 경기도 전체 2,556개교 중 공기질 측정을 시행한 학교는 758곳, 즉 전체의 30%에 불과하다. 김 의원은 “과학실은 각종 화학약품과 실험기구가 사용되는 공간임에도 공기질 측정조차 이루어지지 않는 곳이 많아 학부모의 불안이 크다”고 우려했다.
현행 「학교보건법」은 학교장은 매 학기 교실 공기질을 점검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과학실 역시 교수학습 활동과 밀접한 공간인 만큼 동일한 기준 적용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과학실은 교사의 일부분이자 학생의 배움터로, 실험의 공간일 뿐 아니라 안전한 생활 공간이기도 하다”며, “경기도교육청은 조례에 명시된 행정적·재정적 지원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과학실험이 학생의 창의성과 탐구심을 자극하는 도구가 되기 위해선, 그 전제조건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이 반드시 보장돼야 한다”며, “과학실 안전관리 내실화를 위해 경기도의회 차원의 감시와 지원을 계속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