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미세계] “27만 오산시민들에게 꼭 필요한 사업만 골라왔다. 꼭 살펴 주시길 부탁드린다.”
12일 오후, 국회 본청에서 열린 간담회 자리. 이권재 오산시장은 국민의힘 임이자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을 마주하며 절박한 목소리를 전했다. 회의 안건은 단순한 사업 보고가 아닌, 오산시의 생존과 직결된 재난안전 대응과 주요 현안사업의 국비 반영이었다.
시는 최근 기후위기와 도시 인프라 노후화로 인한 시민 요구가 급증함에 따라, 지방 재정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필수 사업들의 국가 지원을 요청해 왔다. 이번 건의는 그러한 노력의 연장선에 있다.
간담회에서 이 시장은 재난안전과 관련해 세 가지 핵심 사업의 예산 지원을 요청했다. 첫째, 중부1동부 하수관로 정비사업비 증액(40억 원). 둘째, 중앙1 도시침수대응 관로정비사업(19억 원). 셋째, 국가하천 유지관리(7억 원) 등이다.
하수관로 정비사업은 신장3, 중앙, 남촌분구 및 원동 등 상습침수지역의 노후 관로를 현대화하는 작업이다. 최근 반복되는 ‘게릴라성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시급성이 크다.
국가하천 유지관리 사업은 화성 동탄신도시 등 상류에서 유입되는 토사가 쌓여 통수 능력이 떨어진 오산천을 준설하고, 제방 침식을 방지하는 공사다. 이는 기흥저수지 수문 개방 시 하천 범람과 제방 붕괴를 예방하는 데 필수적인 사업으로 평가된다.
이 시장은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 위험이 현실로 다가왔다”며 “예산 반영이 지연되면 피해 규모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재난 대응 외에도, 이 시장은 오산의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네 가지 현안사업을 함께 제시했다. △오산3 공공하수처리장 조기 신설, △오산세무지서 신설 지원, △오산시 기준인력 및 기준인건비 상향, △서랑저수지 음악분수 설치 등이다.
공공하수처리장 신설은 도시 확장에 따른 환경 인프라 확충과 직결된다. 기준인력·인건비 상향 건의는 오산시 행정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기반이다. 서랑저수지 음악분수는 시민 여가·관광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이 시장은 “하수처리장과 행정 인력 확충은 도시 지속가능성을 위한 필수조건”이라며 “관광 인프라 역시 도시 브랜드를 높이고 지역경제를 살리는 중요한 축”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지역 주민 A씨(52)는 “매년 장마철이면 침수 걱정 때문에 불안하다”며 “관로 정비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생존 문제”라고 전했다.
도시계획 전문가 김모 교수(서울시립대)는 “지방 중소도시는 재난 대응과 도시 인프라 투자가 동시에 필요하다”며 “이번 건의가 중앙정부 지원으로 이어진다면, 기후위기 시대 지방도시의 대응 모델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치권에서도 임이자 기획재정위원장은 “제시된 현안사업을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답했지만, 국비 확보를 위한 절차와 정치적 설득 과정이 남아 있다. 국회 예산 심사와 기획재정부 조율 과정에서 사업의 우선순위와 예산 규모가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
오산시는 국회뿐 아니라 관계 부처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예산 확보가 단기 성과에 그치지 않도록 중장기 사업 계획과 연계하겠다”고 밝혔다.
오산시의 이번 국회 건의는 단순한 ‘예산 따오기’가 아니다. 재난 대응이라는 시급성과 도시 미래 설계라는 장기 목표를 동시에 추진하는 전략적 행보다. 기후위기 시대, 지방도시의 생존 전략은 결국 ‘안전과 지속가능성’에 달려 있다.
이권재 시장의 발걸음이 중앙정부의 지갑을 열고, 오산의 안전과 가치를 지켜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코노미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