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미세계] 고양특례시가 공공건축물의 생애주기 전 과정에 걸쳐 탄소 배출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탄소 제로 전략'을 선언했다. 설계공모부터 시공, 운영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 친환경 기준을 반영해 실질적인 탄소 감축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다. 더 나아가 건축재료 생산과 운반, 설치 등에서 발생하는 ‘숨은 탄소(Embodied Carbon)’까지 관리 범위를 넓히며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에서도 선도적인 친환경 건축 행보에 나섰다.
고양시는 앞으로 공공건축물 설계공모 시 ‘탄소저감 계획의 구체성과 실현 가능성’을 의무 제출 항목으로 명시할 예정이다. 설계 제안서에는 자재 선택, 운반 경로, 시공 공정 등 각 요소에서 탄소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방안을 담아야 하며, 이를 주요 심사 기준으로 삼는다.
시는 이를 통해 ‘설계부터 환경을 생각하는 도시 고양’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겠다는 방침이다. 행정 편의성이나 경제성에만 초점을 맞췄던 과거의 방식에서 벗어나, 탄소중립 도시를 위한 실질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정책의 핵심은 단순한 에너지 절감에 그치지 않고 건축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까지도 적극적으로 줄이는 데 있다. 설계 단계에서는 저탄소 인증 제품과 재활용 자재의 사용을 권장하며, 고단열·고기밀 구조, 자연채광과 자연환기 극대화를 기본 설계 요소로 삼는다.
시공 단계에서는 건설장비의 최적 운영, 공정 통합 등을 통해 현장 탄소 배출을 줄인다. 시공사와는 탄소관리 이행 협약을 체결해 사업 전반에 걸쳐 실효성을 높인다. 운영 단계에서는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도입과 에너지 자립률 제고, 실시간 탄소 배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통해 지속 가능한 관리 체계를 만든다.
고양시는 공공건축물의 탄소 감축과 더불어 도시 인프라 차원의 친환경 전략도 강화한다. 특히 상수도 사용을 줄이고 도시 열섬 현상 완화에 기여할 수 있는 빗물저장시설을 적극적으로 설치할 계획이다.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회복력 있는 도시’를 지향하며, 탄소 감축과 기후적응을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러한 고양시의 정책에 대해 시민들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김재훈(38세, 일산동구 백석동 거주)씨는 “공공건축물이 먼저 나서야 민간도 따라갈 수 있죠. 행정이 앞장서는 모습이 신뢰를 준다고 했다.”
정하영(29세, 덕양구 화정동 거주)씨도 “기후위기를 피부로 느끼는 요즘, 이런 친환경 정책이 더 늘어나야 한다고 생각해요. 실제 우리 일상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올 것 같아요라고 했다.”
박윤서(48세, 주엽동 소재 건축사무소 운영)씨는 “빗물저장시설이나 에너지 절약 설계는 지금보다 더 보편화돼야 해요. 이번 정책이 그런 분위기를 이끌었으면 합니다라고 강조했다.”
고양시 총괄계획가 이제선 한양대 교수는 “건축의 시작 단계부터 탄소저감을 고려하는 것은 탄소중립 사회로 가기 위한 필수 과제”라며 “공공건축물이 친환경·저탄소 건축의 선도 모델이 되도록 전 과정에 걸쳐 철저한 탄소관리 체계를 갖추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정책은 향후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민간 부문에도 친환경 건축 전환을 유도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고양시는 앞으로도 공공건축물뿐 아니라 도시 전반에 걸쳐 저탄소 기반의 인프라를 확장해 ‘탄소 제로 도시’로의 도약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코노미세계 / 오정희 기자 oknajang@hanmail.net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