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세계] 최근 몇 년 새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PM·Personal Mobility)는 도시 곳곳의 풍경을 바꿨다. ‘마지막 1km’를 해결하는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각광받으며 통근과 통학, 심지어 배달까지 활용 범위가 넓어졌다. 그러나 그 편리함의 그늘에는 무질서한 이용과 사고 급증이라는 사회적 과제가 짙게 드리워져 있다.
화성특례시 정명근 시장은 4일 자신의 SNS를 통해 “PM은 이동이 편리한 장점이 있지만 인도 곳곳에 무분별하게 방치돼 보행자 불편이 심각하다”며 “최근 3년간 전국 PM 사고가 7,000건을 넘었고, 동탄 지역에서만 지난해 101건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사고 운전자의 65%가 10대와 20대라는 점은 청소년 안전 교육과 교통문화의 허점을 그대로 보여준다. 이른바 ‘킥보드 세대’의 무분별한 이용이 시민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는 것이다.
화성시가 문제의식을 가진 이유는 단순히 사고 통계 때문만이 아니다. 인도 곳곳에 아무렇게나 버려진 킥보드가 휠체어, 유모차, 시각장애인 보행자에게 직접적 위협이 되고 있다. ‘보행자 도시’를 지향하는 지방정부 입장에선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현안이었다.
정 시장은 “안전 캠페인 도중에도 두 명이 한 킥보드를 타는 위험한 모습을 목격했다”며 “시민 의식 개선 없이는 제도만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화성시는 경찰서, 교육지원청, 녹색어머니연합회 등 지역기관과 손잡고 ‘PM 안전 이용 문화 조성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학교 앞과 주거지역 중심으로 올바른 탑승법, 헬멧 착용, 지정 구역 반납 등을 홍보하며 청소년층 중심의 이용 습관을 바꾸려는 시도다.
화성시는 지난 8월부터 전국 최초로 ‘PM 전용 주차장’ 제도를 시행했다. 우선 동탄 신도시에 시범 설치된 이 주차장은 GPS 기반 위치 시스템을 적용해 지정된 구역 외에서는 대여·반납이 불가능하다.
이 정책 이후 시민 반응은 긍정적이다. “거리 환경이 깔끔해졌다”, “보행이 편해졌다”는 평가가 잇따르며, 자전거도로와 보행자 공간이 구분된 도시의 질서가 회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현행 도로교통법상 전동킥보드는 ‘원동기장치자전거’로 분류돼 있으나, 이용자 대부분은 관련 규정을 숙지하지 못한다. 헬멧 미착용, 2인 탑승, 신호 위반 등이 상시 발생하며, 면허 없이 운전하는 미성년자도 적지 않다.
전문가들은 “도심형 모빌리티 확산은 세계적 흐름이지만, 법과 교육이 따라가지 못하면 ‘위험한 자유’가 된다”며 “청소년 교육과 공공 캠페인을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화성시는 교육지원청과 협력해 청소년 교통안전 교과과정을 마련하고, ‘PM 안전 체험존’ 운영을 검토 중이다. 장기적으로는 시민 체감형 스마트 교통 관리 시스템 구축도 추진한다.
이와 관련해 화성시는 급성장한 신도시와 산업단지가 혼재된 도시로, 교통수요가 폭증하는 지역이다. 대중교통망 확충과 보행 인프라 개선을 병행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교통혁신’을 도시 비전으로 내세운다.
정명근 시장은 “시민이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들겠다”며 “PM 정책 역시 일시적 단속이 아닌 시민이 체감하는 질서 회복으로 이어지게 하겠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