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세계] 용인특례시가 ‘2025년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되며 장기간 숙원 과제였던 상습침수 문제 해결의 전기를 마련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올해 전국 23개 지자체가 요청한 32개 지역 중 용인 유림1지구와 중앙지구를 포함한 17개 지역을 최종 선정했다.
용인시는 이로써 국비와 도비 총 770억 원 규모의 지원을 확보, 노후 하수관로 개량과 빗물펌프장 신설 등 도시 침수 대응 인프라 구축 사업을 본격화한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배수 개선을 넘어 기후변화 시대의 ‘도시 회복력’을 강화하는 의미를 지닌다. 여름철 국지성 호우로 인한 도심 침수 피해가 빈발하면서, 정부 차원의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정책이 추진돼 왔다. 용인시는 지정 이전까지도 ‘내수 배제 곤란 지역’으로 지목돼왔으며, 주민들의 민원이 꾸준히 제기된 곳이다.
유림1지구·중앙지구 일대는 면적 약 1.08㎢로, 하천 수위 상승 시 하수 역류 위험이 높고 통수 능력이 떨어지는 지역이다. 시는 국비 578억 원, 도비 192.5억 원, 시비 192.5억 원 등 총 963억 원을 투입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하수관로 3.235㎞ 개량 ▲신설 구간 126m 추가 ▲빗물펌프장 5개소 설치 등이 포함된다. 국비 보조율은 광역지자체 30%, 기초지자체 60%로, 향후 설계 결과에 따라 세부 조정이 이뤄질 예정이다.
시는 2026년 초 타당성 조사를 시작으로 하반기에는 기본·실시설계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어 단계별 행정 절차와 주민설명회를 병행해 ‘침수 걱정 없는 도시’로 전환을 목표로 한다.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유림1·중앙지구 하수도 개선사업은 단순한 시설 확충을 넘어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필수적 투자”라며 “집중호우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 노후 하수 인프라 개선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이번 지정을 계기로 장기적 하수도 관리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급변하는 기후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AI기반 예측·경보 시스템을 도입하고, 주요 하천 인근의 배수시설 유지관리 예산을 확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유림1·중앙지구의 지정은 용인시 전체 하수도 체계 개선의 촉매제가 될 전망이다. 시는 향후 동천·기흥·처인구 일대 노후 하수관망에 대한 종합 진단도 추진해, 침수 대응망을 전 지역으로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이번 지정으로 확보된 재정은 단기적 재해 복구를 넘어, 중장기적으로 ‘스마트 물관리 도시 용인’으로의 전환을 이끄는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코노미세계 / 김나경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