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진= 정장선 페이스북 캡쳐] | 
[이코노미세계] 정장선 평택시장이 미국의 일시적인 관세 유예 조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아 있는 관세 불확실성이 지역 경제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정 시장은 16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 같은 입장을 내놓으며, 지역 기업들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뜻을 전했다.
정 시장은 “미국이 한국에 대한 관세를 유예하긴 했지만, 이는 일시적인 조치일 뿐”이라며 “장기적으로 관세 정책의 방향이 명확하지 않아 지역 기업들은 여전히 큰 불안에 시달리고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정확한 정보를 요구하는 기업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시는 각종 정책 자료와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평택시는 관내 기업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지원책을 속속 실행에 옮기고 있다. 그 일환으로 지난 4월부터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산하 경기신용보증재단이 선착순으로 시행한 ‘관세부과 수출 피해 기업 특별경영자금 지원사업’에 평택시 소재 21개 기업이 신청했다.
이는 경기도 내 31개 시·군 가운데 두 번째로 많은 수치이며, 공장 등록 수 대비 신청 실적으로는 도내 1위를 기록했다.
평택시는 이번 관세 이슈 대응을 위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코트라를 통해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대한 신속한 정보 공유는 물론, 수출입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대책도 마련 중이다.
또한, 시는 비상경제협의체를 통해 지역 내 다양한 경제 주체들과 머리를 맞대고 정기적인 대책 회의를 이어가고 있다. 정 시장은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은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렵다”며 “지역 기업들이 장기적 관점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역 내 많은 기업들은 관세 문제와 관련해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정보 부족’을 꼽았다. 관세 부과 여부, 대응 전략, 향후 수출입 절차 등 다양한 사항에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정장선 시장은 “이번 관세 이슈는 단순한 통상 문제가 아닌, 지역경제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지속 가능한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평택이 위기 속에서도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또 “중앙정부, 유관기관과 협력을 강화해 정확한 정보 제공과 실질적 지원이라는 두 축을 동시에 추진하겠다”며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기업이 다시 활기를 되찾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코노미세계 / 오정희 기자 oknajang@hanmail.net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