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 31개 시군 분포도 현황. | 
[이코노미세계] 경기도가 급속히 진행되는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노인여가복지시설 확충과 지역 간 복지 격차 해소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21일 연구보고서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의회는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한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생활 보장 지원 연구’ 결과를 공개하며,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경기도의 복지정책 방향에 대한 시급한 대책을 촉구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 사회의 고령화 진행 속도와 그에 따른 경기도 노인 인구 증가 추세, 노년층의 다양한 특성과 복지 수요를 분석한 결과, 단순한 시설 확충을 넘어 세대별, 연령별 맞춤형 복지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와 ‘엑티브 시니어’로 불리는 신중년층이 노년기에 진입하면서, 과거와는 다른 건강 상태, 학력, 여가활동 성향 등을 고려한 정책 개발이 시급하다는 판단이다.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00년 고령화사회(65세 이상 인구 비율 7%)에 진입한 이래 2018년 고령사회(14.3%)로 전환됐으며, 2025년에는 초고령사회(20.6%)로의 진입이 예상된다. 경기도 역시 2025년 고령화율이 17.1%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며, 2028년에는 21.9%로 초고령사회에 본격 진입하게 된다. 2042년에는 노인 비율이 31.9%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처럼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여가복지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신체적 활동이 줄고 사회적 역할이 감소하는 노년기에 적절한 여가활동은 우울감 해소와 건강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여가복지의 기능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연구는 노인여가복지시설로 분류되는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 등의 프로그램 구성과 운영 실태를 분석하며, 지역 간 예산과 인력 배치, 접근성 측면에서 상당한 불균형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등록 여부에 따라 지원이 달라지는 경로당의 경우,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제도적 정비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2024년 ‘경로당 현대화’ 연구를 통해 경로당 기능 다양화, 식사제공 모델 개발, 미등록 경로당 양성화 등을 제안했으며, 이에 따라 경기도도 정책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평가다. 경기도는 현재 ‘경로당 디지털 서포터즈’, ‘어르신 문화즐김’, ‘24시간 노인상담’, ‘무료급식·식사배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여가 활동이 노인의 삶의 질과 정서 안정, 사회참여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재확인했다. 특히 노인의 건강 유지와 인지 기능 보완에 효과적인 음악치료, 원예활동, 치매예방 체조 등 복합형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은정 외(2021)의 연구에 따르면, 수도권과 대도시 지역은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전문 인력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반면, 농촌과 도서 지역은 시설 접근성, 운영 예산 등에서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광역 단위의 복합형 복지시설 설치와 지역 밀착형 전달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경기도의회는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지역 간 복지 격차 해소, 노인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는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민관협력 체계 확대, 전문 인력 확보 등의 정책 대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고령자 삶의 질을 지탱하는 복지 인프라로서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방소멸 시대에 대응하는 핵심 정책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도 차원의 제도 개선을 모색할 방침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노인의 다양한 복지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어르신 모두가 차별 없이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경기도 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정책을 보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