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세계] 성남시의 2026년도 본예산안이 총 3조 9408억 원 규모로 확정돼 시의회에 제출됐다. 올해보다 1110억 원(2.9%) 증가한 이 예산안은 ‘시민 체감형 복지’, ‘균형 잡힌 지역개발’, ‘미래 신성장 산업 준비’라는 세 가지 방향성을 중심축으로 삼았다.
신상진 시장이 강조해 온 “복지는 두텁게, 산업은 과감하게, 재정은 건전하게”라는 기조가 실제 예산 편성 과정 전체에 반영된 셈이다.
3조 3641억 원 규모의 일반회계가 6.46% 증가하며 전체 예산 성장을 견인했다. 증가분의 상당 비중이 사회복지·지역개발·환경·문화 분야로 배분된 점은 성남시가 2026년을 기점으로 도시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중장기 전략을 본격화하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2026년도 사회복지 분야 예산은 1조 4246억 원으로 전체 예산의 42% 이상을 차지했다. 전년 대비 5.92% 증가한 규모로,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복지 수요 확대와 시민 안전망 강화 정책이 직접적 요인으로 꼽힌다.
구체적으로는 독감 예방접종 등 기초보건사업은 물론 아동·노인·장애인 지원 프로그램의 확장, 취약계층 주거안정 사업 등 생활밀착형 복지 투자를 강화했다. 복지 예산이 전체 구성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성남시가 지속적으로 유지해 온 기조로, ‘체감도 높은 복지’가 지역 정체성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토·지역개발 분야 예산은 전년 대비 무려 49.2% 급증한 2273억 원 규모로 편성됐다. 이는 도시재생, 기반시설 확충, 노후화된 지역 순환구조 개선 등을 통해 ‘도시의 미래지도’를 그리는 전략적 투자로 풀이된다.
성남시는 수도권 핵심도시로서 재개발·재정비 구역의 균형적 발전 과제를 안고 있다. 판교·분당의 고도화와 원도심의 재생이 동시에 요구되는 상황에서 인프라 불균형을 해소하고 도시 구조를 재정렬하는 데 투자가 집중된 것으로 해석된다.
교육 분야 예산은 23.5% 늘어난 794억 원으로 편성됐다. 초등학생 입학준비금 지원, 친환경 과일 급식, 초·중등 교육지원 확대 등 ‘교육 양극화 방지’를 기반으로 한 생활형 교육지원에 초점이 맞춰졌다.
여기에 평생교육 인프라 확충이라는 성인학습 지원까지 포함하면서 ‘생애주기형 교육도시’를 지향하는 정책 방향성이 담겼다.
문화·관광 분야는 8.2% 증가한 2179억 원 규모다. 여수동 복합문화시설, 성남박물관 건립 사업 등 장기 과제를 중심으로 문화 인프라 확충이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생활문화 진흥 사업의 확대도 눈에 띈다. 시민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일상형 문화공간을 늘리고, 지역축제와 관광 콘텐츠 다변화를 통해 도시 브랜드 가치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환경 분야는 2336억 원으로 편성돼 생활환경 개선과 도시환경 건강성을 중심 의제로 삼고 있다. 쓰레기·대기질 관리 강화, 녹지 확장, 수질 개선 등 시민 삶의 질과 직결되는 사업을 대폭 확대한 것이 특징이다.
성남시는 특히 환경정책을 단순한 “미봉책”이 아닌 장기 도시 경쟁력 요소로 판단해 도시공원 조성, 미세먼지 저감시설 확충 등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산업·중소기업·에너지 분야 예산은 6.4% 증가한 968억 원으로 편성됐다. 팹리스 반도체, AI 기반 기술산업 육성 등 미래 산업의 핵심 클러스터 조성을 목표로 한다.
특히 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한 성남의 기술산업 생태계는 이미 국내 상위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어, 이번 예산 편성은 ‘산업 생태계의 재확장과 고도화’라는 방향성에 방점을 찍은 것으로 해석된다.
확장적 지출에도 불구하고 성남시는 재정건전성 유지를 위한 지방채 상환 기조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단순한 재정 지출 확대가 아닌 ‘재정의 효율적 운용’을 목표로 균형을 잡아가겠다는 의미다. 예산의 상당 비중이 중장기 지속가능성을 기준으로 배분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된다.
예산안은 11월 20일 개회되는 성남시의회 제2차 정례회에서 심의를 거쳐 12월 17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을 것으로 전망된다. △복지예산 증가에 대한 지속가능성 논의, △지역개발 예산 급증에 대한 균형성 논란, △산업·미래기술 투자 확대의 실효성 검증 등이다.
한편 성남시 2026년도 예산은 단순한 재정 지출을 넘어 도시 재도약의 방향성과 철학을 드러낸 예산안이다. 복지의 밀도를 유지하며, 지역개발·산업 성장·환경정책 등 전 분야에 균형 투자를 시도한 점은 성남시가 수도권 핵심도시로서 미래 경쟁력 확보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 예산 집행 과정에서 시민 체감·정책 효율성·지속가능성이라는 세 가지 기준을 어떻게 균형 있게 달성할지는 성남시 행정력의 중요한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이코노미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