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세계] 지금 안성은 변곡점에 서 있다. 많이 오기 시작한 관광객을, ‘지나가는 손님’이 아니라 ‘머무는 생활인구’로 전환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지역경제·환경·문화에 어떤 구조적 변화를 가져올지를 결정해야 할 시점이다.
20일 김보라 안성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공직자, 시민, 관광 사업자, 전문가가 모여 ‘안성형 지속가능관광’(Sustainable Local Tourism) 방향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총 2시간 30분 동안 이어진 타운홀 미팅에서는 “관광 성장과 도시 지속성의 균형”이라는 주제가 화두로 떠올랐다.
안성시는 올해만 해도 하늘전망대 방문객 30만 명, 바우덕이 축제 방문객 60만 명을 기록했다. 전통문화 기반 행사인 문화장페스타, 동아시아문화도시 프로젝트에도 전국‧해외 관광객이 늘면서 안성 관광 수요는 이미 임계점을 넘어섰다.
여기에 팜랜드, 골프장, 스타필드, 카페, 캠핑장, 낚시터 등 민간 관광시설과 레저시설 이용객 또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김 시장은 “안성 시민조차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이미 많은 이들이 안성의 매력을 알고 찾아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관광객 증가가 곧 도시의 미래 경쟁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무계획적 관광은 지역 주민 불편, 환경 훼손, 교통체증, 소음 유발 등 ‘관광 과밀 부작용’을 불러올 수 있다.
이날 논의의 핵심은 다음 세 가지 질문에 집중됐다. 쳇째, 관광객이 안성에서 더 오래 머물게 하려면 체류형 콘텐츠·숙박 기반 확충, 둘째, 관광이 시민에게 실질적 이익이 되려면? 지역 농산물·상권·세수 연결 구조, 셋째,관광과 자연·역사를 함께 지키려면? 환경 보호형 관광 모델 구축이다.
김 시장은 “관광객이 지역 농산물을 구매하고, 지역에서 소비하며, 나아가 고향사랑기부금까지 연결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단순한 방문이 아니라, 관계 기반 관광(Stay & Participate Tourism), 즉 ‘방문객, 체류인구, 관계인구, 지역 기여인구’로 이어지는 확장 모델을 뜻한다.
특히 안성처럼 농업 기반과 생태환경 자원이 풍부한 지역은 △환경 보전 △문화·역사 자산 보호 △지역민 우선 정책 △관광 동선 분산 전략이 함께 고려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실제로 국내 대표 관광도시인 제주와 전남 여수는 관광객 과잉으로 주민 피로도가 상승해 정책 전환을 겪은 바 있다. 반면 프랑스 보르도·영국 레이크 디스트릭트·일본 히다가와와 등은 지역자산 보전형 관광 모델을 통해 지속가능 관광을 실현한 사례로 꼽힌다.
흥미로운 점은 이번 회의에 AI 기술을 활용해 의견을 실시간 정리하고 분석하는 시도가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안성이 기존 지자체가 추진해온 관행형 관광정책을 넘어, 데이터 기반·합의 기반·참여 기반 행정 방식으로 전환 중임을 보여준다. 김 시장은 “짧은 시간에 다양한 의견을 구조화할 수 있었다”며 의미를 평가했다.
지속가능 관광은 시설 개발만으로는 완성되지 않는다. 도시의 정체성, 자연, 산업, 공동체, 문화, 행정 철학이 함께 만들어가는 장기과제다.
특히 바우덕이 축제, 농산물 브랜드, 안성의 전통 연극·농경 문화, 청정 생태환경은 단순한 관광 콘텐츠가 아니라, 도시 서사의 기반 자산이다.
김 시장은 “이번 토론은 답을 확정하는 과정이 아니라 해온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여정의 출발점이었다”고 말했다.
안성이 앞으로 선택해야 할 길은 두 가지다. 쇠퇴한 지방 도시처럼 ‘흔적만 남는 관광지’가 될 것인지, 아니면 주민 삶이 개선되고 도시 품격이 높아지는 ‘지속가능 관광 도시’로 성장할 것인지다.
이코노미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