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세계] 빈집을 철거하여 우리 동네에 부족했던 아동 돌봄센터를 만들고, 다양한 교육, 복지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국토교통부가 주최한 「제1회 빈집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경기주택도시공사의 ‘지역 맞춤형 아동 돌봄센터’ 설립 사례가 대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공모전은 방치된 빈집을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는 자산으로 활용하고, 빈집 문제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고취하기 위해 올해 처음 개최되었으며, 3개 부문(아이디어, 설계, 활용사례 영상)에 135건의 출품작이 접수되는 등 열띤 호응이 있었다.
공모전은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에서 서류·현장평가를 통해 창의성, 실현가능성, 확장성, 지속가능성 등을 심사해, 대상 1건, 최우수상 3건, 우수상 6건 등 총 10건의 우수작을 선정했다.
최우수상에는 △커뮤니티 센터, △청소년 문화의 집, △보육원 독립청년 대상 주거지원 시설 등 3건, 우수상에는 △골목 안심귀가시설 △음악회 및 전시회 공간 △반려동물을 위한 네트워킹 공간으로 활용하는 아이디어, 설계, 영상 등 총 6건이 선정됐다.

대상을 수상한 경기주택도시공사는 경기도, 동두천시, 주민과 함께 단독주택 빈집 3호를 정비하여 아동 돌봄센터, 마을 공유 공부방 등으로 조성하는 방안을 고안하였다. 지역 수요조사를 통해 활용방안을 발굴하였으며, 현상설계 공모를 거쳐 쇠퇴지역의 이미지를 변화시킬 창의적인 설계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최우수상을 수상한 경북 김천시는 6.25 이후 형성된 역사 깊은 마을에 방치된 단층 목조주택의 역사·문화적 가치에 주목하였다. 빈집의 원형을 최대한 보존한 리모델링, 증축을 통해 커뮤니티 시설, 마을 기업의 지역특산품 판매시설 등으로 운영 중이다.
이 밖에도 초등학교 인근 빈집을 문구점, 청소년 문화시설로 활용하거나, 도심의 빈집을 리모델링하여 보육원, 자립생활관을 독립하는 청년들의 안정적인 주거지로 제공하는 아이디어도 있었다.
이번에 선정된 우수 아이디어, 설계, 영상은 한국부동산원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앞으로 지자체의 빈집 정비계획에 활용하고, 민간·공공의 빈집 정비사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홍보 책자, 영상 등을 제작하여 홍보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